» K-휴머노이드 연합 공식 출범…2030년까지 민관 1조원 이상 투자

K-휴머노이드 연합 공식 출범…2030년까지 민관 1조원 이상 투자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국내 산업계와 학계가 손잡고 2030년까지 휴머노이드 기술 강국 도약을 목표로 'K-휴머노이드 연합'을 공식 출범시켰다. 정부와 민간이 함께 1조원 이상의 투자를 추진하며, 로봇 AI 모델 개발과 핵심 부품 확보 등 5대 중점 과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안덕근 산업부 장관, 유홍림 서울대 총장 등 관계자 3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번 연합에는 삼성전자, 현대차, LG전자 등 주요 기업은 물론 서울대, KAIST 등 국내 유수 대학과 연구기관까지 총 40여 개 단체가 참여했다.

정부는 올해 2000억 원 규모인 로봇 예산을 점차 확대하고, 휴머노이드 펀드 조성을 통해 민간 투자를 유도해 오는 2030년까지 1조 원 이상을 투입할 계획이다. 특히 연합 내 2개 이상의 기업이 공동 추진하는 기술개발 과제는 우선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연합은 AI 개발, 로봇 제조, 반도체·배터리 등 부품, 스타트업·인재양성, 수요-공급기업 협력 등 6개 전문그룹 체제로 운영된다. 이들은 ▲로봇 AI 공용 모델 개발 ▲휴머노이드 핵심기술 개발 ▲AI 반도체·모빌리티 배터리 기술 확보 ▲스타트업·전문인력 양성 ▲공급·수요기업 간 협력 강화 등 5대 과제를 중심으로 협력하게 된다.

특히 AI 개발 그룹은 서울대와 부산대 AI 권위자들이 주축이 된 ‘드림팀’으로 구성돼, 2028년까지 모든 로봇 제조사가 공동 활용 가능한 로봇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한 로봇 제조사와 부품사는 가볍고, 자유도와 페이로드가 높은 고성능 로봇을 2028년까지 자체 또는 협업 개발한다. 촉각센서, 힘·토크센서, 유연 액추에이터 등 정밀 부품도 국산화 개발이 추진된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연내 휴머노이드 전용 펀드를 출범하고, 주요 대학 학생들이 연합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실습 기회를 확대할 방침이다. 기술 쇼케이스와 경진대회 등을 통해 기업 간 협력도 촉진할 계획이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세계 휴머노이드 시장은 향후 10년간 25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번 연합이 대한민국 제조업과 기술경쟁력의 핵심 기반이 되도록 정부가 모든 역량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