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분기 제조업 매출·시황 동반 하락…2분기 전망도 ‘흐림’

1분기 제조업 매출·시황 동반 하락…2분기 전망도 ‘흐림’

【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올해 1분기 국내 제조업체들의 매출과 시황이 나란히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계는 2분기에도 개선보다는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경기 회복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산업연구원은 16일 ‘2024년 1분기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제조업체 1487곳을 대상으로 시황, 매출, 경영환경 등을 분석해 0~200 범위의 지수로 산출했으며, 기준선인 100 이상이면 전 분기 대비 개선, 미만이면 악화를 의미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전체 제조업 시황 BSI는 78, 매출 BSI는 77로 집계돼 지난해 4분기(각각 84, 87) 대비 하락했다. 특히 내수(79)와 수출(86) 지수 모두 100을 밑돌며 전 분기보다 더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업계는 2분기 전망도 밝지 않다고 내다봤다. 시황 전망 BSI는 91, 매출 전망은 95로 각각 소폭 회복이 기대되긴 하나 여전히 기준선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내수(94), 수출(96) 전망치 역시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업종별 1분기 매출 BSI를 살펴보면 전 업종이 100을 하회한 가운데 △철강(68) △이차전지(69) △반도체(70) △무선통신기기(71) △섬유(72) 등의 업종에서 하락폭이 두드러졌다. 조선(76), 자동차(83) 업종 역시 기준선 아래에 머물렀다.

2분기 매출 전망에서도 △디스플레이(111) △바이오헬스(101) △화학(100)을 제외하면 대부분 업종의 지수가 100을 넘지 못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형업체가 1분기 매출 BSI 95를 기록한 반면, 중소업체는 76에 그쳐 체감경기의 격차가 두드러졌다. 이는 대내외 불확실성과 고환율, 자재비 부담 등 복합적 요인에 중소기업이 상대적으로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경영활동의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내수 부진과 재고 누적(52%) △대외 불확실성(43%) △원재료비·환율 부담(36%) 등이 꼽혔다. 특히 자금 사정에 대한 부담도 커져, ‘이자 부담과 자금난’을 이유로 든 응답은 26%에 달해 전 분기보다 상승했다.

또 미국의 관세 정책 대응 방안을 묻는 항목에서는 ‘별다른 대책 없음’이 42%로 가장 많아, 글로벌 통상 리스크에 대한 체계적 대응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