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 서울뉴스통신】 김부삼 기자 = 정부가 글로벌 통상 경쟁 속에서 베트남과의 협력 강화를 통해 교역 확대와 통상 리스크 대응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베트남과의 교역을 오는 2030년까지 1500억 달러 규모로 확대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도 제시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4일 베트남 하노이를 방문해 응우옌 홍 지엔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만나 ‘제14차 한-베 산업공동위원회’와 ‘제8차 한-베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1500억 달러 달성 이행 방안 △원전 및 청정에너지 협력 △LNG 발전 협력 △섬유·의류 산업 투자 및 유통 정책 협의 채널 재개 등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다.
FTA 공동위원회에서는 양국 간 FTA 개정 논의와 함께, △수출입 절차 간소화 △전기안전 인증기관 확대 △농축산물 품목 확대 △수입 규제 해소 방안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이를 통해 양국 기업들의 FTA 활용도 제고를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회의 이후 안 장관과 응우옌 장관은 △2030년 교역 목표 달성을 위한 이행계획 △원전 협력 강화 △전력망 및 에너지 신산업 분야 협력 등 총 3건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중 한국전력은 베트남 국영 송전공사와 별도의 에너지 협력 MOU를 맺었다.
같은 날 오후에는 베트남에 진출한 국내 기업 16개사와 간담회를 열고, 미국의 관세정책 등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두산에너빌리티, 신한은행 등 주요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안 장관은 “우리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뿐 아니라 베트남 정부와도 고위급 회담과 실무 협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