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부동산 시장이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과 정치적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관망세에 돌아선 가운데 강남권에선 국민평형 전용면적 84㎡ 구축 단지에서도 신고가 거래가 발생했다.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서울에서 5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의 절반 이상이 서초구 반포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에서 거래됐다.
특히나 한강변 단지가 많은 서초구 반포동에선 구축 단지 국민평형 매매가가 50억원에 육박하는 사례가 나왔다.
2009년 준공돼 올해로 17년차인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전용 84㎡(23층)는 지난달 18일 49억7500만원에 주인이 바뀌었다.
토허제 재지정이 발표되기 전 신고가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올해 초 같은 평형(15층)이 42억7000만원에 매매됐던 것과 비교하면 7억원 넘게 오른 셈이다. 평당 가격은 1억4465만원이다.
2009년 준공된 인근 반포자이 전용 84㎡(7층)도 직전 거래와 비교해 3억7500만원 오른 44억2500만원에 지난달 12일 팔리며 신고가를 찍었다. 올해 초 25층 같은 평형이 40억원에 매매된 것에 비해 4억2500만원 올랐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초구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은 2월 30억8386만원으로 처음으로 30억원대를 넘겼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14억6304만원)의 2배 수준인 셈이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 집계에서도 지난해 서초구 아파트의 3.3㎡(평)당 가격은 9285만원으로 서울에서 가장 높았다. 2014년 3003만원보다 209% 폭등한 가격대로, 비강남 평당 가격(4283만원)의 2배를 웃돌았다.
반포동에선 2023년 준공된 신축 대장주인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84㎡(12층)가 지난달 3일 70억원에 매매되기도 했다. 평당 2억590만원으로 평당 2억원을 넘긴 셈이다.
고강도 대출 규제와 토허제에도 자금 여력이 있는 주택 매수자는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운신의 폭을 이용해 강남권 '똘똘한 한 채'를 매수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자산가들에게는 현금 유동성이 대출 규제보다 더 중요하고 토허제도 실거주 의무만 충족하면 대응 가능한 부분"이라며 "안전자산이자 지위자산으로 반포, 압구정 등 '강남 안의 강남'을 선호하는 양극화 추세는 더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