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 서울뉴스통신】 최정인 기자 = 화재의 원인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한 ‘화재감정기관’의 권역별 확대 지정이 본격화된다.
소방청은 16일, 전국 화재조사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전국을 5개 권역(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제주권)으로 나누고 각 권역별로 1개 이상의 화재감정기관을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화재감정기관은 화재 발생 시 발화 지점, 원인, 확산 경로, 피해 규모 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역할을 맡는다. ‘소방의 화재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방청장이 지정한다.
현재까지는 수도권에 위치한 경기소방학교와 서울소방재난본부가 유일한 지정기관이다. 그러나 화재 양상이 복잡하고 대형화되면서 권역별 전문 기관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방청은 내부 소방기관은 물론, 역량을 갖춘 외부 전문기관까지 포함해 지정 확대를 위한 컨설팅을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는 인프라, 인력, 장비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게 된다.
소방청은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2027년까지 전국 주요 권역에 최소 5곳 이상의 화재감정기관을 추가 지정할 계획이다.
박근오 소방청 119대응국장은 “이번 권역별 확대는 전국 어디에서나 신속하고 전문적인 화재감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중요한 발걸음”이라며 “지역 간 조사 역량 격차를 해소하고, 전국 단위의 과학적 화재조사 기반을 균형 있게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